Books

세일!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Original price was: 35,000원.Current price is: 31,500원.

2개 재고

저자 야마모토 다카마쓰
출판사 메멘토
판형 144mm x 215mm
페이지 568쪽
카테고리 비문학
출판연도 2023
책 소개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희철학(希哲学),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学), 치지학(致知学), 통고학(通古学), 계지학(計誌学)은 오늘날 어떤 학문을 가리킬까? 이들 각각은 Philosophy(철학), Aesthetics(미학), Physics(물리학), Logic(논리학), Archaeology(고고학), Statistics(통계학)에 대응하는 19세기 번역어로, 서양 학술 체계와 용어를 일본에 도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계몽사상가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만든 용어다. 니시 아마네는 현대 일본과 한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학술, 과학, 기술, 예술, 연역, 귀납, 심리’ 같은 단어를 창안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연구해온 야마모토 다카미쓰(山本貴光)가, 1870년경 니시 아마네가 ‘서구의 학술’을 쉽게 소개하려고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의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꼼꼼하게 해설한 것이다. 백학연환은 엔사이클로피디아(Encyclopedia)의 번역어로 온갖 학술(百學)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連環)을 뜻한다. 현재 Encyclopedia라고 하면 ‘백과사전’이나 ‘백과전서’를 떠올리지만 이 말의 어원인 그리스어 ‘엔큐클리오스 파이데이아(Ενκυκλιος παιδεια)’는 ‘기본적인 교육과정’, 오늘날의 ‘일반교양’을 말한다.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 강의는 서양 학술의 지도, 즉 학술의 전체상을 소개하면서 일본 근대지(近代知)의 체계를 구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서구 문물을 이입, 흡수하려 했던 메이지 시대에는 모든 학술을 처음 접하는 상태였으므로 니시 아마네의 설명에는 ‘학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를 번역해 만들어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 책으로 ‘일본의 번역과 근대’ 전체를 조망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의 꼼꼼한 읽기와 현장감 넘치는 서술 덕분에 특정 학술용어나 학문 분야를 지칭하는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야마모토 다카마쓰(山本貴光)

1971년생. 독립 연구자이자 게임 크리에이터. ‘메이지현인연구회(明治賢人研究会)’ 회원. 어릴 때부터 학술과 학술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연구해왔다. 에도 말기, 메이지 시기 계몽사상가이자 서양 철학자였던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1870년경 ‘서구의 학술’을 소개한 강의를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파고들어 분석했고, 이를 웹사이트 ‘워드와이즈웹(WORD-WISE WEB)’에 총 133회에 걸쳐 연재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2009년에 히토쓰바시 대학원에서 ‘새로운 「백학연환」-학술 편’을 강의했다.
게임 〈That’s QT〉 〈전국무쌍(戦国無双)〉의 개발에 참여했다. 저서로 『뇌를 이해하면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脳がわかれば心がわかるか)』, 『문제가 문제다(問題がモンダイなのだ)』, 『컴퓨터의 비밀(コンピュータのひみつ)』, 『문체의 과학(文体の科学)』이 있고, 역서로 『마인드-마음의 철학(MiND-心の哲学)』, 『룰스 오브 플레이(ルールズㆍオブㆍプレイ)』 등이 있다. 홈페이지 ‘철학의 극장(哲学の劇場)’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