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

세일!

악인의 서사

Original price was: 18,000원.Current price is: 16,200원.

2개 재고

저자 듀나 외 8인
출판사 돌고래
판형 141mm x 210mm
페이지 320쪽
카테고리 비문학
출판연도 2024
책 소개

잊을 만하면 주기적으로 SNS 실시간 트렌드를 점령한 그 키워드!
단행본 지면으로 무대를 옮긴 ‘악인의 서사’ 논쟁
140자의 집단적 독백을 넘어 14,000자의 심층 탐구로

콘텐츠 향유가 일상화되면서 창작 윤리에 대한 질문도 끝없이 제기되는 오늘날, 언젠가부터 많은 관객과 독자, 창작자들 사이에서는 “악인에게 서사를 주지 말라.”라는 말이 빈번하게 화두에 오르기 시작했다. 이 간명한 슬로건은 당초 현실의 잔혹 범죄를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언론을 규탄하기 위해 대두됐지만, 머잖아 창작 서사 전체를 아우르는 원칙으로까지 받아들여졌다. 매혹과 연민의 시선으로 악인과 악행을 묘사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향해 이들 작품이 악을 비호하고 합리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악인의 서사 자체를 비윤리와 동일시하는 사고방식이 널리 확산된 것이다.

하지만 이런 요구가 새로운 상식처럼 받아들여지는 과정에서 우리가 간과한 물음은 없을까? 지금껏 악인의 서사에 관한 논쟁은 소셜미디어(트위터)를 중심으로 벌어졌지만, 분량 제한(140자)과 휘발성이 강한 매체의 특성 때문인지 상호간의 공통된 이해를 바탕으로 풍부한 논의를 낳는 데까지는 충분히 나아가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악인의 서사』는 악인의 서사에 관한 논쟁의 무대를 단행본 지면으로 옮겼다. 소설가 겸 영화 평론가 듀나, 문학 평론가 겸 편집자 박혜진, 문학 평론가 전승민, 미스테리 전문지 《미스테리아》 편집장 김용언, 영화 평론가 강덕구, 영문학 연구자 전자영, 번역가 최리외, 웹소설 작가 겸 연구자 이융희, 비평가 윤아랑 등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 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통찰 넘치는 글쓰기를 이어오고 있는 저자 아홉 명이 참여해, 창작 서사에서 악을 재현하는 문제를 두고 저마다 시의적이고도 다채로운 논점을 제기한다.

특히 숱한 오해와 모호한 주장으로 점철된 기존 논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악인의 서사』에는 모든 저자가 (140자의 100배에 해당하는) 14,000자 분량의 글을 쓰고 실었다. 일찍이 수많은 문학 작품을 비롯한 창작 서사는 인간의 복합성과 양가성, 도덕적 회색지대와 윤리적 딜레마 등을 추체험하는 장소로 기능해왔다. 창작 서사의 이런 입체성을 고려한다면, 단순히 “악인에게 서사를 주지 말라.”라는 명령만으로 특정 작품의 재현 윤리를 온전히 가늠하기란 무리에 가깝다. 여기에 동의하건 동의하지 않건, 악의 서사와 재현의 문제를 엄밀히 논하려면 적어도 이 한 줄짜리 문장에 멈추기보다 이로부터 상세하고 정연한 고찰을 시작해야 한다.

저자 소개

듀나
소설가, 영화 평론가. 1990년대 초 하이텔 과학 소설 동호회에 짧은 단편을 공개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소설 『평형추』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었다』 『민트의 세계』, 논픽션 『옛날 영화, 이 좋은 걸 이제 알았다니』 『장르 세계를 떠도는 듀나의 탐사기』 등을 썼다. 『평형추』로 2021년 SF어워드 장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박혜진
문학 평론가, 문학 편집자. 『언더스토리』 『이제 그것을 보았어』를 쓰고, 『82년생 김지영』 『딸에 대하여』 등을 편집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2011년부터 출판사 민음사에서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201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됐고, 제19회 젊은평론가상, 제67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전승민
문학 평론가. 서강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 석사 과정에 있다. 202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됐고, 제19회 대산대학문학상을 수상했다. 《창작과비평》 《문학동네》 《뉴래디컬리뷰》 등에 평문을 발표했다. 퀴어 페미니즘과 영미 모더니즘에 관심이 있고, 동네 책방에서 독자들과 독서 경험을 나누는 활동을 겸하고 있다.

김용언
미스터리 전문지 《미스테리아》 편집장. 『여자에게 어울리는 장르, 추리소설』 『문학소녀』 『범죄소설』 등을 쓰고, 『내게는 수많은 실패작들이 있다』 『죽이는 책』 『코난 도일을 읽는 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영화 잡지 《키노》 《필름2.0》 《씨네21》, 장르문학 전문지 《판타스틱》, 서평 웹진 《프레시안 books》 등에서 일했

강덕구
영화 평론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다. 영상 비평지 《오큘로》 편집위원을 역임했고, 비평 공유 플랫폼 《콜리그》를 운영하고 있다. 『익사한 남자의 자화상』 『밀레니얼의 마음』을 쓰고, 『사탄 박사의 반향실』을 우리말로 옮겼다. 사회, 문화, 예술이 만나는 접경에 관심을 갖고 글을 쓰고 있다.

전자영
서강대학교 영문학부 강사. 셰익스피어부터 현대 희곡까지 다양한 연극 텍스트를 가르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교에서 근세 영국 희곡의 여성과 복화술에 대한 연구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고, 기졸업자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Money and Magic in Early Modern Drama, Adaptation, 《미스테리아》 《영어영문학》 등에 논문과 에세이를 발표했다.

최리외
번역가. EBS 다큐팀 리서처, 《여성신문》 기자로 일했고,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 박사 과정에 있다. 《자음과모음》 게스트 에디터로 여성 디아스포라 작가에 관한 특집을 기획하고, 『벌들의 음악』 『당신의 소설 속에 도롱뇽이 없다면』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문학과 관계하는 행위로서 낭독에도 관심이 많아, 낭독자로서 다수의 퍼포먼스에 참여하며 배수아 등과 협업했다.

이융희
문화 연구자, 작가. 2006년 『마왕성 앞 무기점』으로 데뷔한 이래 현재까지 꾸준히 장르문학을 창작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국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장르 비평 동인 텍스트릿의 창단 멤버이자 팀장으로 다양한 창작·연구·교육 활동에 참여하며 (주)지티이엔티 콘텐츠제작본부 소설 파트 팀장을 겸하고 있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웹소설 창작학과 조교수로 재직했다.